반응형
JPA 에서는 페이징에 필요한 기능들을 추상화 해놨기 때문에 편하게 페이징 처리가 가능하다 , Spring Data JPA 에서는 Page 라는 클래스를 지원하는데 페이징에 대한 기능들을 한번터 추상화해 더욱 사용하기 편리하다 .
//샘플 데이터
for (int i = 0 ; i <100; i++){
Member member = new Member("user"+i , i);
em.persist(member);
}
em.flush();
em.clear();
//페이징
List<Member> result = em.createQuery("select m from Member m order by m.age desc", Member.class)
.setFirstResult(0) // offset
.setMaxResults(10) // limit
.getResultList();
System.out.println("result.size() = " + result.size());
result.forEach(System.out::println);
출력된 페이징 쿼리
반응형
'JPA' 카테고리의 다른 글
JPA 공부 17 - JPQL . 6 경로 표현식 (0) | 2021.06.07 |
---|---|
JPA 공부 16 - JPQL . 4 JOIN (0) | 2021.06.06 |
JPA 공부 14 - JPQL . 2 프로젝션 (0) | 2021.06.06 |
JPA 공부 14 - JPQL . 1 (0) | 2021.06.06 |
JPA 공부 13 - 직접 쿼리를 작성하는 방법 (0) | 2021.06.06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