useradd 사용자 추가
usermod 사용자 변경
userdel 사용자 삭제
ugo2이라는 유저를 추가해봣다 관리자 권한으로만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.
sudo useradd ugo2
잘 추가되었는지 확인을 위해선
root 디렉토리에서 시스템 설정파일이 있는 etc 폴더에 가보면 passwd라는 파일을 확인하면 된다. cat으로 내용을 출력해보면 현재 등록된 사용자에 대해 알 수 있다.
cat /etc/passwd
맨 밑에 ugo2 가 생겼다
ugo2 : x : 1001 : 1001 :: /home/hwang:/bin/sh 가 나타내는 정보는 아래와 갔다
ugo2(사용자이름) : x : 1001(사용자식별자) : 1001(사용자그룹식별자) :: /home/hwang:/bin/sh (사용자 로그인시 첫화면)
사용자는 등록했다. 로그인을 위해선 사용자의 비밀번호도 등록해 줘야한다.
sudo passwd hwang
비밀번호 등록 프롬프트가 나온다
이제 로그인해보자
로그인을 위해서 현재 계정을 로그아웃 할 필요는 없다 alt F2~F6 을 누르면 새로운 터미널이 열린다
ugo2로 로그인 해봤다 .
요런 화면이 나온다 . 맨 밑에 보면 디렉토리가 없어서 root 디렉토리가 홈으로 지정되었다고 나온다.
password 에서 유저 정보의 마지막이 첫 로그인 화면이었고 /home/ugo2로 지정을 해줬는데 현재 해당 디렉토리가 없어서 그렇다
home으로 가서 ugo2 디렉토리를 만든후에 다시 로그인해 봤다 .
/home/ugo2 경로로 로그인 되었다 .
한가지 문제가 더 있다 . home으로 가서 ls -l로 디렉토리들의 현재 상태를 보자
ugo2 디렉토리를 보면 디렉토리 권한과 소유그룹이 모두 root로 되있다.
처음에 디렉토리를 만든 유저가 소유권을 갖기 때문에 그렇다
ugo2 디렉토리는 ugo2의 소유로 만들어줘야 ugo2가 파일을 만들거나 할 수 있다 .
sudo chown ugo2:ugo2 ugo2
sudo chown ugo2:ugo2 ugo2
소유권 변경을 하기위해서 chown을 사용한다 change owner의 약자이다 .
:을 쓰면 소유자와 , 소유그룹을 한번에 바꿀 수 있다 .
ugo2가 ugo2에서 파일을 생성할 수 있게 되었다 .
'Linux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리눅스 공부 7 - JDK 전역화 하기 (0) | 2021.06.23 |
---|---|
리눅스 공부 6 - 리눅스 프로필과 환경변수 설정 (0) | 2021.06.23 |
리눅스 공부 5- 명령어에 별칭 부여 , 리눅스 부팅 순서 (0) | 2021.06.23 |
리눅스 공부 2 - 링크파일을 환경변수 디렉토리에 생성 (0) | 2021.06.22 |
리눅스 공부 1 - 리눅스 파일편집기와 기본적인 명령어들 (0) | 2021.06.21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