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
javascript 공부 3 - 형 변환(Type conversion)
UGO04
2021. 8. 5. 21:31
반응형
const a = 1
const b = '1'
console.log(a === b)
console.log(a == b)
위와 같은 코드가 있을때 일치연산자를 사용하는 첫번째 출력은 데이터 타입이 다름으로 false가 나온다 .
반면에 동등 연산자인 ==을 사용하는 두번째 출력에서는 형변환이 일어나 true가 출력된다
의도치 않은 결과가 나올 수 있기 때문에 자바 스크립트에서는 == 보다는 ===을 사용하는 걸 권장 한다.
자바스크립트에서 형 변환이 일어나는 대표적인 경우는
if 문 안에 boolean 값을 할당할 때이다.
자바스크립트에서는 if 문안에
true 혹은 false 를 의미하는 값이 아래와 같이 존재한다.
Truthy( 참 같은 값 ) : true , {}, [] , 1 , 2 , 'false' ,-12 , '3.14' ...
falsy(거짓 같은 값) : false , '' , null , undefined , 0 ,-0 , NaN
위와 같은 점은 다른 언어와 다른 자바스크립트의 특징 중 하나이다 .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