JAVASCRIPT
javascript 공부 7 - 기본개념3 (배열을 다루는 메서드들)
UGO04
2021. 8. 6. 16:52
반응형
const numbers = [1,2,3,4,5]
const fruits = ['apple','banana', 'cherry']
//forEach()
//forEach 의 파라미터는 element , index 순이다
fruits.forEach((fruit,i)=>{
console.log(fruit,i)
})
//map()
//배열에서 데이터 추출하고 조작하여 새로운 배열을 만들어냄
const b = fruits.map((fruit,i)=>(
{
id:i,
name:fruit
}
))
console.log(b)
//filter()
//콜백의 반환값이 true 일 때만 값을 반환하여 배열로 만든다
const nums2 = numbers.filter(num => num < 4)
console.log(nums2)
//.find()
// 첫번째로 찾아지는 것만 리턴한다.
const f = fruits.find(fruit => fruit.includes('a'))
console.log(f);
//findIndex()
//첫번째로 찾아지는 것의 인덱스를 반환한다
const g = fruits.findIndex(fruit => fruit.includes('a'))
console.log(g);
//push()
//배열 맨 뒤에 특정 아이템을 추가한다 (원본이 수정된다 )
numbers.push(6)
console.log(numbers)
//unshift()
//맨앞에 특정 아이템을 추가한다 (원본이 수정된다 )
numbers.unshift(0)
console.log(numbers)
//reverse()
// 배열의 순서를 뒤집는다 (원본이 수정된다)
numbers.reverse();
console.log(numbers)
//splice()
//지정한 인덱스 값을 포함하여 (첫번째 파라미터) , 그 뒤 몇개의 아이템을 지운다(두번째 파라미터)
numbers.splice(2,2);
console.log(numbers)
//특정 인덱스에 데이터를 끼워 놓는 용도로도 사용된다
numbers.splice(2,0,100)
console.log(numbers)
//특정 위치의 데이터를 갈아 끼우는 용도로도 사용된다
numbers.splice(2,1,88)
console.log(numbers)
반응형