Web 지식
웹 개발 기본 공부 4 - PORT , DNS
UGO04
2021. 5. 9. 16:38
반응형
PORT
IP가 데이터의 목적지를 구분한다면 PORT는 그 목적지 안에서 돌아가고 있는 애플리케이션(프로세스)을 구분하는데 사용된다.
만약 내 컴퓨터에서 아래 3개의 프로그램이 돌아가고 있다고 생각하면 아래와 같이 연결되어 패킷을 전송한다.
클라이언트 (IP : 100.112.33) | -> <- |
서버(IP) |
게임프로그램(8090 포트) | 게임프로그램 서버(11220 포트) | |
메신저(21000포트) | 메신저 서버(32202 포트) | |
웹브라우저(10010포트) | 웹브라우저 서버(32202 포트) |
보통 0~65535 까지 할당 가능하고
0~1023 까지는 잘알려진 포트이기 때문에 사용하지 않는 것이 좋다
프로토콜별 사용포트
FTP -20, 21
TALNET- 23
HTTP - 80
HTTPS - 443
DNS
IP는 기억하기가 힘들고 변경될 수도 있다. 이를 해결하기 위해 DNS 도메인 네임시스템 을 사용한다 .
중간에서 도메인 명을 IP 주소로 변환하는 서버이다.
만약 google.com 을 인터넷에 검색한다고하면 DNS에 먼저 도메인 명을 요청하고
DNS 서버는 IP주소를 응답한 후에
클라이언트에서는 그IP 주소로 접속한다.
만약 IP 주소가 변경되면 DNS 서버에 저장된 IP 주소가 변경된다.
반응형